알베르토 사보이아 3

[아이디어 불패의 법칙] 전략 도구 #1

전략 1 : 생각은 글로벌하게, 테스트는 로컬 하게(Think globaly, act locally) 야심 찬 해외 계획의 수립과 실행에 시간을 쓰기 전에 훨씬 작고 접근하기 쉬운 표적 시장의 하위 시장에서 아이디어를 검증해야 한다는 것. '테스트는 로컬 하게'라는 원칙은 단순히 물리적 거리나 지리적 지역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이 말은 시장이 개념적으로 여러 집단으로 나뉘거나 업계 표준이 여럿이라서 각각에 접근하려면 추가적인 투자가 필요할 때도 적용된다. 예컨대, 앱 개발에서는 기술적으로, 콘셉트적으로 더 가까운 플랫폼에서 먼저 검증한 다음, 나머지를 정복하라. 전략 4 : 고치고 뒤집고 다 해보고 그만둬라 첫 실험에서 실망스러운 '나만의 데이터'가 나왔다고 해서 섣불리 낙담하지 마라. 몇 가지만 ..

[아이디어 불패의 법칙] 사고 도구(시장 호응 가설, 숫자로 이야기하라, 범위 축소)

1. 시장 호응 가설 시장 호응 가설은 새로운 제품이나 아이디어가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지 예측하는 가설입니다. 이 가설은 고객의 Bedrock* 요구 사항을 파악하고, 제품이나 아이디어가 그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2. 숫자로 이야기하라 XYZ가설 "적어도 X퍼센트의 Y는 Z 할 것이다" X: 제약 조건이나 가정, 현재 상태에 대한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기술의 발전 수준이나 시장 동향과 같은 제한 요소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Y: 현재까지의 상태에서 개선되거나 변화할 수 있는 요소입니다. 이는 아이디어나 제품의 잠재적인 가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Z: 비전 또는 목표로 설정된 원하는 상태나 성과를 나타냅니다. 이는 아이디어나 제품의 최종 목표를 의미합니다. ex1..

[아이디어 불패의 법칙] 실패를 부르는 네 마리 요괴(확증 편향 문제) + 원작

아이디어의 실패 요인 중에 하나는 확증 편향 문제이다. 확증 편향은 개인이나 조직이 이미 가지고 있는 믿음이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증거나 정보를 수집할 때, 그들의 기존의 믿음이나 가설을 뒷받침할 만한 증거나 정보를 우선적으로 수집하려는 인지적 편향을 말한다. 이러한 편향성으로 인해 특정 아이디어나 가설이 이미 갖고 있는 믿음에 따라 지나치게 강조되어 진실과 달라질 수 있다. 『아이디어 불패의 법칙』 실패를 부르는 네 마리 요괴 1. 아이디어 전달 문제 2. 예측력 문제 3. 적극적 투자가 없다는 문제 4. 확증 편향 문제 작은 요괴들이 힘을 합치면 먼저, 최초의 아이디어는 전달 과정에서 한 번 왜곡된다. 그 왜곡된 아이디어를 사람들은 각자의 독특한 경험과 편향을 통해 들려다보고 판단한다. 그다음, 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