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구석 투덜이 탈출기

프리토타이핑과 프로토타입

수차리토 2023. 4. 25. 08:24

알베르토 사보이아는 인지심리학자이자 디자이너로서, 제품 디자인 및 사용자 경험 분야에서 프리토타이핑프로토타입 개념을 발전시켰다.
"제품 개발 프로세스" 또는 "제품 생명주기(lifecycle)" 에 따라 각각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 의미와 함께 알아보자.

프리토타이핑

의미

  • 프리토타이핑은 제품 개발 과정에서 초기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검증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다.
  • 프리토타이핑은 적은 비용과 시간을 들여 빠르게 아이디어를 시각화하고, 이를 통해 문제점이나 개선점을 빠르게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다.
  • 프리토타이핑은 종이와 연필, 스티커, 포스트잇 등을 사용해 간단한 모형이나 스케치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프로토타입보다는 보다 초보적인 수준의 시제품 제작 기술입니다.

프로세스

  1. 아이디어 개발: 먼저,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목표를 설정합니다. 아이디어를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해 간단한 스케치나 그림을 그려봅니다.
  2. 피드백 수집: 스케치나 그림을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피드백을 수집합니다. 이를 통해 아이디어의 유효성과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3. 디자인 작업: 피드백을 반영하여 스케치나 그림을 수정하고, 더욱 구체적인 디자인 작업을 시작합니다. 이 과정에서 디자인 도구를 사용하여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4. 제작: 디자인 작업을 마치고, 제작에 필요한 재료와 도구를 준비합니다. 종이나 카드보드, 포스트잇 등을 이용하여 간단한 모형을 제작해봅니다.
  5. 검증: 제작한 모형을 다시 피드백을 받으며 검증합니다. 문제점이나 개선할 점이 있으면 다시 디자인과 제작을 반복하면서 개선해나갑니다.

프로토타입

의미

  • 프로토타입은 보다 완성된 형태의 시제품이다. 제품의 디자인 및 기능, 사용자 경험 등을 테스트하고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 프로토타입은 프리토타이핑보다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실제 제품에 가까운 완성도를 갖춘 시제품을 제작해야 한다.

프로세스

  1. 요구사항 정의: 제품 개발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목표를 설정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제품의 목적과 기능, 사용자 요구사항 등을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2. 디자인 작업: 정의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디자인 작업을 시작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제품의 외관, 기능, 사용자 경험 등을 구체화합니다. 이를 위해 스케치, 그림, 디자인 도구 등을 사용하여 디자인을 구현합니다.
  3. 제작: 디자인 작업을 마치고, 제작에 필요한 재료와 도구를 준비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프로토타입의 외형을 제작하고, 내부 구조나 기능을 구현합니다.
  4. 검증: 제작한 프로토타입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피드백을 수집합니다. 이를 통해 프로토타입의 문제점이나 개선할 점을 파악하고, 디자인과 제작을 반복하면서 개선해나갑니다.
  5. 생산: 검증을 마친 프로토타입을 기반으로 제품 생산을 시작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프로토타입에서 발견된 문제를 해결하고, 제품의 완성도를 높입니다.




사보이아는 이러한 프리토타이핑과 프로토타입 개념을 제품 디자인 및 사용자 경험 분야에서 활용해, 제품의 질을 높이고 개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는 방법을 개척했다.
이제는 많은 회사들이 이러한 개념을 적용하여 제품의 개발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