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리토 실험실

C언어 예제 #4 (연산자)

수차리토 2023. 3. 31. 00:28

C 언어에서 연산자는 주어진 값을 계산하거나 조작하는 데 사용되는 기호입니다. C 언어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연산자들이 있지만, 여기서는 대표적인 연산자들을 예시와 함께 설명하겠습니다.

 

1. 산술 연산자

  • '+' : 덧셈을 수행합니다. (예: 1 + 2 = 3)
  • '-' : 뺄셈을 수행합니다. (예: 3 - 2 = 1)
  • '*' : 곱셈을 수행합니다. (예: 2 * 3 = 6)
  • '/' : 나눗셈을 수행합니다. (예: 6 / 2 = 3)
  • '%' : 나머지를 구합니다. (예: 5 % 2 = 1)

2. 대입 연산자

  • '=' : 변수에 값을 대입합니다. (예: int a = 5;)

3. 증감 연산자

  • '++' : 변수를 1 증가시킵니다. (예: a++;)
  • '--' : 변수를 1 감소시킵니다. (예: a--;)

4. 비교 연산자

  • '==' : 두 값을 비교하여 같으면 참(true)을 반환합니다. (예: 1 == 1)
  • '!=' : 두 값을 비교하여 다르면 참(true)을 반환합니다. (예: 1 != 2)
  • '>' : 왼쪽 값이 오른쪽 값보다 크면 참(true)을 반환합니다. (예: 2 > 1)
  • '>=' : 왼쪽 값이 오른쪽 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참(true)을 반환합니다. (예: 2 >= 2)
  • '<' : 왼쪽 값이 오른쪽 값보다 작으면 참(true)을 반환합니다. (예: 1 < 2)
  • '<=' : 왼쪽 값이 오른쪽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참(true)을 반환합니다. (예: 1 <= 1)

5. 논리 연산자

  • '&&' : 두 값이 모두 참(true)이면 참(true)을 반환합니다. (예: 1 == 1 && 2 == 2)
  • '||' : 두 값 중 하나라도 참(true)이면 참(true)을 반환합니다. (예: 1 == 1 || 2 == 3)
  • '!' : 값의 부정을 반환합니다. (예: !(1 == 1)은 거짓(false)을 반환합니다.)

이 외에도 C 언어에서는 비트 연산자, 삼항 연산자 등 다양한 연산자를 제공합니다. 연산자의 종류와 기능에 대해 숙지한 후,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