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리토 실험실
C언어 예제 #3 (변수와 데이터 타입)
수차리토
2023. 3. 31. 00:22
변수는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을 가리키는 이름입니다.
데이터 타입은 변수가 저장할 수 있는 값의 종류를 의미합니다.
- int: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2, 0, 3 등이 있습니다.
- float: 소수점을 가지는 실수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3.14, -0.5, 1.0 등이 있습니다.
- double: float보다 큰 범위의 소수점을 가지는 실수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3.14, -0.5, 1.0 등이 있습니다.
- char: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a', '1', '?' 등이 있습니다.
- short: int보다 작은 범위의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32768부터 32767까지의 값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 long: int보다 큰 범위의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2147483648부터 2147483647까지의 값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 unsigned int: 0 이상의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0, 1, 2 등이 있습니다.
- unsigned char: 0 이상의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a', '1', '?' 등이 있습니다.
예제 1 : 정수형 변수
#include <stdio.h>
int main() {
// 정수형 변수 x와 y를 선언하고 10과 20의 값을 대입
int x = 10;
int y = 20;
// x와 y를 더한 결과를 출력
printf("%d\n", x + y);
return 0;
}
설명: 위 코드에서는 정수형 변수 x와 y를 선언하고, 각각 10과 20의 값을 대입합니다.
그리고 x와 y를 더한 결과를 출력합니다. 이때 x와 y는 int 데이터 타입입니다.
예제 2: 실수형 변수
#include <stdio.h>
int main() {
// 실수형 변수 pi와 radius를 선언하고 3.14와 5.0의 값을 대입
float pi = 3.14;
float radius = 5.0;
// 원의 넓이를 계산하여 출력
float area = pi * radius * radius;
printf("%f\n", area);
return 0;
}
설명: 위 코드에서는 실수형 변수 pi와 radius를 선언하고, 각각 3.14와 5.0의 값을 대입합니다. 그리고 원의 넓이를 계산하여 변수 area에 대입하고, 이를 출력합니다. 이때 pi와 radius는 float 데이터 타입입니다.
예제 3: 문자열 변수
#include <stdio.h>
int main() {
// 문자열 변수 name과 greeting을 선언하고 값을 대입
char name[] = "Alice";
char greeting[] = "Hello";
// 인사말을 출력
printf("%s, %s!\n", greeting, name);
return 0;
}
설명: 위 코드에서는 문자열 변수 name과 greeting을 선언하고, 각각 "Alice"와 "Hello"의 값을 대입합니다. 그리고 인사말을 출력하는데, 이때 문자열 변수를 이용하여 구성합니다. 이때 name과 greeting은 char 배열 데이터 타입입니다.